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산 식량종자 키워 식량안보 지킨다…2025년까지 식량종자 보급률 60%로 확대
국립종자원, 식량종자 생산-공급제도 개편안 마련
국산 보급종 공급률 올해 51%서 2025년 60%로
종자 비축물량 1→10%로 확대…가루쌀 보금 확대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2025년까지 벼·밀·콩 등 주요 식량 종자에 대한 정부 보급종 공급률을 60%로 높이고, 종자 공급량의 5% 물량에 대한 비축을 추진하는 등 식량 종자 생산 공급제도 개선으로 식량안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와 병충해 발생 증가 등으로 국가 식량안보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주곡의 안정적인 생산이 크게 강조되고 있는 데 따른 대책이다.

‘농부는 굶어 죽어도 씨앗(종자)은 베고 죽는다’는 속담처럼 종자는 농업의 기본이며 식량안보의 근간이지만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로 고품질 우량종자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 보급종 공급률도 지속적으로 떨어져 지난해 49.3%에 머물렀다. 이에 국립종자원은 식량 종자 생산 공급제도 개선을 통해 기후변화와 식량주권 확보에 적극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먼저 식량 종자 생산 측면에서는 생산단계별 종자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고품질 종자로 주력품종을 교체하는 한편, 식량 종자 생산 농가(채종농가)에 대한 생산장려금 지급방식도 개선키로 했다.

현재 관능검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종자 검사체계를 유전자 분석을 필수 검사 방법으로 도입해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방침이다. 원종은 2024년부터 보급종은 2025년부터 유전자 검사를 필수 검사 방법으로 도입하고, 유전자 분석 물량도 2021년 480점에서 2025년에는 850점으로 확대한다.

식량 종자 원원종과 원종 생산단계에서 지자체와 합동으로 포장검사와 종자 검사를 시행해 품종의 순도와 생육상황 등을 정밀 관리하고, 보급종 단계에서는 관리부실 생산 포장(채종포장)은 3진 아웃 제도를 도입(1차 경고 → 2차 농가 배제 → 3차 단지 배제)할 방침이다.

그동안 종자 수매검사에서 합격한 농가에 대해서만 일괄 지급하던 종자 생산장려금(종자 수매가격의 20~30% 추가 지급)을 내년부터 포장검사 합격 시에 30%(포장 관리비), 종자검사 합격 시 70%(생산보상금) 분리 지급함으로써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채종 농가의 소득감소를 지원한다.

식량 종자 공급측면에서는 주요 식량 종자 비축을 확대하고, 가루쌀 종자 생산 공급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증가하는 기상재해와 병충해 발생 증가에 대응해 벼·콩 등 주요 식량 종자에 대한 비축 규모를 현재 연간 공급량의 1% 수준에서 2025년 5%, 2030년 10%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의 가루쌀 육성 정책에 부응하여 가루쌀 종자(바로미2)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2024년에 보급종을 생산하고, 2025년부터는 농가가 필요로 하는 가루쌀 종자 전량을 보급종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동시에 재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식량 종자 생산과 공급에 있어서 국립종자원의 총괄 조정 기능과 역할도 확대키로 했다. 종자 정선센터 9개소에 대해 외부 전문기관의 위험성 평가를 통해 안전 위해요소를 사전 점검 조치하고 노후시설 및 장비 교체와 첨단 장비 도입으로 안전관리를 강화키로 했다.

국립종자원은 이러한 식량 종자 생산 공급제도 개선으로 현재 50% 수준인 보급종 농가 공급률을 2025년 60%, 2030년 65%까지 상향시켜 식량자급률 향상과 식량안보를 뒷받침할 방침이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