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동산PF 후폭풍’ 맞은 금융권...캐피털·저축은행이 다른 이유는
회계기준 상이 충당금 적립률 달라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크게 늘린 저축은행, 캐피털 등 2금융권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수익은 고사하고 자금 상환도 쉽지 않은 상태다. PF대출을 늘린 이들 업권 중에서도 특히 캐피털업계의 영향이 더 클 전망이다.

18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캐피털 등 여신전문금융사의 기업대출 중 PF 비중은 2018년 20% 수준에서 올해 상반기 30%로 높아졌다. 총 자산 중 PF 비중 역시 같은 기간 7.9%에서 14.1%로 늘었다.

캐피털사는 특히 시공 전 토지 매입이나 인허가, 시공사 보증 등에 필요한 자금인 ‘브리지론’의 비중이 높다. 원자재가 상승에다 고금리에 따른 자금 조달의 어려움 등이 겹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가 예정대로 진행되지 않아 본 대출로 연결되지 않으면 그 부실이 바로 캐피털사로 전이되는 구조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부동산 여신의 부실 발생 여부가 비카드 여전사의 수익성 및 자산 건전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저축은행은 2011년 부동산 PF 부실사태를 겪으면서 부실 위험이 크게 낮아진 상태다. 총 대출 대비 부동산 PF대출 비중이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47%에서 14%로 떨어졌고, 상위 5개 저축은행의 총 여신 대비 50억원 이상 거액여신 비중도 54%에서 10%로 크게 줄었다.

전통적으로 2금융권에서 부동산 대출 비중이 큰 두 업권 간에 차이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규제 차이이다.

저축은행 PF대출은 시행사가 사업자금의 20%를 자기자본으로 조달해야 하다. 이로 인해 선순위 비중이 높다. 반면 캐피털은 해당 규제가 없어 선순위보다 상대적으로 고수익인 중·후순위 비중이 높은 편이다.

또 저축은행은 개별 차주에 대한 여신한도 규제가 있다. 개인사업자나 법인은 각각 50억원, 100억원이며, 자산 1조원 이상은 각각 60억원, 120억원이다. 이처럼 캐피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규모 사업장(총 사업규모 100억~500억원)에 약 10개 내외의 업체들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는 형태를 띤다.

이는 곧 거액 여신 비중이 낮아 신용 집중위험이 낮음을 의미한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PF대출 규모가 저축은행은 건당 27억원인데 반해 캐피털은 건당 100억원 수준이다.

대손충당금 및 대손준비금을 포함해 당국이 관리하고 있는 기본 요적립률은 두 업권이 동일하지만, 충당금 적립률에서 저축은행이 캐피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한국신용평가 기준 저축은행 PF대출 충당금 적립률은 4.0%로, 캐피털 1.7%에 비해 높다.

이태형 기자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