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74억 투입…1.5만톤급 쇄빙연구선 구축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2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제1차 극지 진흥활동 기본계획 수립 관련 사전브리핑을 하고 있다. 2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는 극지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쇄빙능력을 보유한 1만 5천t 급의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해서 그간 아라온호가 접근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 연구를 수행하고 남극에는 세계 여섯 번째의 내륙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연합]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를 구축한다. 2774억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차세대 쇄빙연구선도 건조한다.
해양수산부는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며 22일 이같이 밝혔다. 이는 남·북극을 포괄해 과학연구, 경제활동,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 극지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기본계획에서 정부는 2027년까지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해 2030년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남극에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공동), 중국 내륙기지가 있다.
남극내륙은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그러나 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야 하는 등 고난도 탐사기술이 필요해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3000m 깊이의 심부빙하 시추와 빙하 2000m 아래에 있는 호수(빙저호) 시추에도 도전한다. 이를 통해 과거 지구 기후변화 정보와 미지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한다.
차세대 쇄빙연구선도 건조한다. 연구선은 1.5m 두께의 얼음을 3노트(5.6㎞/h)의 속도로 깰 수 있어 1m 두께까지만 가능한 아라온호가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범정부 극지정책 협의체'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제적으로는 북극권 8개 국가와 맞춤형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2024년에는 남극포럼을 신설한다.
2025년까지 북극 해빙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한다. 남극 빙하가 녹는 원인을 밝히고 2030년, 2050년, 2100년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도 연구한다. 지금까지 한국은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를 중점적으로 연구했지만, 국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범위를 전 남극 빙하로 확장한다.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점을 포함한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극지 환경의 변화는 지구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관련 연구를 강화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정부는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첨단 기술을 개발할 열쇠를 찾아 나설 것"이라며 "인류의 미래를 밝히는 극지활동 선도국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