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실장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원전해체 전문기업 100개, 전문인력 2500명을 육성해 1억달러(한화 1307억원 가량) 규모의 해외 사업 수주를 노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지방자치단체 및 산학연 전문가와 함께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원전해체 글로벌 경쟁력 강화 협의회'를 열고 이러한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전세계 영구정지 원전이 204기에 달하며 원전해체가 본격화됨에 따라 2030년까지 3482억원을 투입해 중수로 해체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0월 착공한 원전해체연구소는 기술 실증체계와 수출 컨설팅 기능을 함께 갖춘 종합 플랫폼으로 확장한다.
우선, 우리나라는 이르면 내년 5월부터 우리나라 첫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해체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17년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이후 지난해 5월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해체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는데, 해체승인 신청 후 인허가심사엔 약 2년이 소요된다.
원전 해체에는 통상 15년 정도가 걸린다. 사용후핵연료 반출 등에 5년, 비(非)방사성 시설 철거와 방사성 시설 제염·해체 등에 8년, 이후 부지 복원에 2년이 소요된다. 해체 절차는 대개 사용후핵연료 냉각 및 반출→제염·해체→비방사성시설 철거→폐기물처리시설 구축→방사성시설 철거→부지 복원 순이다.
방사능 제염 작업과 해체, 폐기물처리 등은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원전 해체 관련 기술수준은 정량적으로 선진국 대비 82% 정도다. 세부적으로 설계·인허가 89%, 제염 76%, 해체 81%, 폐기물처리 73%, 부지복원 74% 등이다. 선진국을 넘어설 정도는 아니지만 고리 1호기를 자체 해체할 수 있는 기술 수준엔 도달했다는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은 수출주도형 국가인 우리로선 놓쳐서는 안 될 기회”라며 “정부는 원전해체 산업생태계 구축과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