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대우조선해양 제공]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고 산업전환과 환경변화에 따른 상생형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해내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포럼이 열렸다.
고용노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노사발전재단은 2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상생·협력을 통한 이중구조 개선을 위하여’란 주제로 ‘2022년 지역일자리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노동시장 이중구조, 산업전환에 따른 일자리 문제 등 지역·산업의 당면한 노동시장 문제를 공유하고 상생과 협력을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의 조선업종으로의 확장 가능성’ 이란 주제로 진행된 1부 토론에서 발표에 나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흥준 교수는 조선업계의 일손 부족 해법으로 “동일직종의 사내(사외) 협력사 다수와 원청의 지분참여로 이뤄진 새로운 회사를 설립, 기존 직원 고용 승계 및 신규 충원을 통해 숙련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원청은 적절한 단가와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고, 협력사는 물량팀 같은 재하도급을 자제하고 정규직 인력 채용을 관행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고용부의 ‘노사상생형 지역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을 통해 신규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는 모범 사례도 소개됐다. 영남대학교 전인 교수에 따르면 경북은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의 13.7%가 밀집해 있지만 최근 종사자 수와 수출액이 감소했다. 이에 경북도와 경주, 영천, 경산시 등 지자체가 함께 미래차 부품 슈퍼클러스터를 조성했다. 경북은 이를 통해 10개 기업의 5460억원 투자를 통한 742명 고용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오는 6일 상생협약식을 열고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지정을 위한 준비에 나설 예정이다.
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내부 자동화 설비. [헤럴드경제 DB] |
아울러 산업의 생태계가 구축되지 못한 지역에서 ‘제2의 광주형 일자리만들기’를 위한 정부 지원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사업 선정 이후에도 상생협약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이견을 논의·조정할 협의체를 활성화하기 위해 컨설팅, 자문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배규식 박사는 “신규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원하청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일자리 질 개선, 산업·노동 전환 등 현안 쟁점도 넓은 의미의 상생형 일자리에 새롭게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권기섭 고용부 차관은 “조선업을 시작으로 업종별 주체들이 산업 내 이중구조를 개선하고 정부는 그 이행과 실천을 적극 지원하는 새로운 모델을 확산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난 2020년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으로 총 6개 지역이 선정, 약 96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1300여명의 직접 고용을 창출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fact0514@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