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가스요금 3차례 ↑…추가 인상 가능성도
취약계층 경제부담 심화 불가피…관련 대책 시급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서민용 연료인 등유가 전년 동월보다 50%가량 급등하고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가 두달 연속 30%대 이상 오르면서 서민들이 느끼는 한파는 더욱더 매서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가스·수도는 지난 10월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특히 한파가 닥치는 가운데 난방비 등 생활필수 물가대책이 전무하면 사회취약계층은 생사의 갈림길에 놓였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지난달 한 다세대 주택에서 숨진 모녀 집 앞엔 가스비 5개월 연체를 알리는 9월자 연체 고지서가 붙어 있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등유는 전년 동월보다 48.9% 올랐다.
실내용 등유가격은 지난해 3분기까지는 800~900원대를 유지했지만 10월 19일(1003.18원) 1000원을 돌파한 이후 쭉 상승세다. 올해 7월 11일 1696.28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다소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국내 등유 가격은 국제 가격에 기반해 책정, 국제 등유 가격은 지난달 30일 기준 배럴당 115.47달러로 연고점이었던 6월 17일(174.01달러)보다 낮아지긴 했지만 1월 3일(86.49달러)보단 높으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등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추월하기도 했다.
또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는 전년동월대비 36.2%, 34.0% 상승했다. 2개월 연속 상승이다. 올해 들어 공공요금을 인상하면서 생긴 일이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가정용 가스요금을 지난 2020년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메가칼로리(Mcal) 당 65.23원을 유지했다. 난방공사는 앞서 약 21개월 동안 가스요금을 인상하지 않았다. 요금인상은 지난 3월 치뤄진 제20대 대통령선거 이후부터 시작됐다. 4월 66.98원, 7월 74.49원, 10월 89.88원으로 벌써 세차례다.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추이에 따라 앞으로 추가적인 인상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억눌렀던 공공요금을 더이상 묶어둘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공공요금도 마찬가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료는 전년동월대비 18.6% 올랐다. 이에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23.1% 상승했다. 먹거리 물가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외식물가는 8.6% 상승했다. 구내식당식사비가 5.5%나 올랐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6.2%로 전월(6.4%)보다 둔화됐다. 이 중 외식은 8.6% 올라 전월(8.9%)보다는 상승률이 내렸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생선회(9.0%), 구내식당식사비(5.5%) 등이 올랐다. 외식외 개인서비스는 4.5%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관리비(5.3%) 등이 오른 영향이다. 집세는 전세가 2.2%, 월세가 0.8%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4.8%로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3% 올라 2008년 12월(4.5%) 이후 가장 높았다.
한국은행은 이날 회의를 열고 내년 초까지는 물가가 5% 수준의 오름세를 이어갈것으로 예상했다.
th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