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31년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국내점유율 90% 달성한다
해수부, 19일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 확정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과 시장 확대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가 2031년까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국내점유율 90%, 세계점유율 10%를 달성하고 시장규모도 지금보다 8배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이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됐다며 19일 이같이 밝혔다. 또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에 체계적 지원을 위해 2024년까지 '항만기술산업 육성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번 전략이 차질없이 진행될 경우 향후 10년간 5조5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만5000명의 취업유발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 항만기술산업 규모도 2026년까지 2배(1조2000억원), 2031년까지 8배(3조9000억원) 성장시킬 계획이다.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은 항만 내 화물이동을 위한 크레인, 이송 장비와 항만 운영시스템(TOS), 분석 소프트웨어, 유무선 통신망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관리하는 시스템 산업을 말한다.

물리적 장비로는 자동화안벽크레인(C/C), 자동야드크레인(ARMGC), 자동이송장비(L-AGV) 등이 포함된다.

해수부에 따르면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중국 상하이항 등 세계 주요 항만과 달리 우리나라의 스마트항만 구축은 상대적으로 늦고 기술력 역시 최대 3년 8개월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해수부는 먼저 연구개발(R&D) 투자 활성화, 부품 국산화 등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올해 중 스마트항만 R&D 로드맵을 수립해 내년부터 관련 R&D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중소기업 중심으로 부품기술을 강화해 현재 29%에 불과한 부품 국산화율을 6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2026년까지 광양항 테스트베드에 개발기술 실증공간 9만2천㎡를 조성하고 광양항 해양산업 클러스터에 관련 기업을 집적시킨다.

국내 기업들이 항만 전주기 통합시스템 토탈포트솔루션(TPS)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국내 기술표준 제정을 추진한다.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마이스터고와 협력해 기술인재를 확보하고 기존 항만근로자의 전환 교육을 확대한다.

아울러 해수부는 국내 기업이 스마트항만 운영경험을 축적할 수 있도록 광양항 테스트베드와 부산항 신항 2-6단계 사업에 국내 스마트항만 기술을 도입한다.

인천 신항 1-2단계 운영사 선정에도 국내 기술 도입 기업을 우대한다.

여기서 쌓인 노하우, 기술력 등을 활용해 부산항 진해신항을 세계 최고의 스마트항만으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기존 항만 터미널을 포함해 항만운영사가 스마트항만 장비를 도입할 경우 2024년부터 한국해양진흥공사의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해양모태펀드 등 스마트항만 스타트업에 대한 창업·투자도 강화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전략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종합적인 정부 정책"이라며 "물류 안보 확보와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 반드시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