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공식품·공공요금 ‘용수철 효과’ 우려
체감물가 고통 지속 가능성 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10개월만에 4%대로 내려왔지만 2차 생산품인 가공식품, 전기·가스·수도 물가 오름세는 더 커졌다. 인위적으로 묶어뒀던 물가 상방압력이 분출하는 모양새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고물가 고통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상반기 공공요금을 동결하고, 식품 업계에 가격 인상요인 흡수를 당부하는 등 물가 억제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고물가로 생계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재정지원도 집중 관리해 나간다는 방침이지만, 인위적으로 억누른 가격의 상승압력이 응축돼 향후 ‘용수철 효과’도 예상된다.

6일 통계청 2023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0.4% 상승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1.3% 올랐다. 2월 기준으로 2009년(15.3%) 이후 최대폭 증가다. 치즈(34.9%), 식용유(28.9%), 맛살(28.4%), 부침가루(26.3%), 드레싱(26.0%), 물엿(25.1%), 밀가루(22.3%) 등 품목에서 20% 이상 상승률을 나타냈다.

공공요금도 상승세가 더 거세졌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8.4% 상승했다. 지난 1월 28.3%에서 0.1%포인트 상승률이 더 높아졌다. 201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상수도료(전월비 0.4%) 상승이 2월 공공요금 물가를 소폭이나마 더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가공식품과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세는 원자재 물가 추이와 반대로 가고 있다. 가공식품 원자재격인 농축수산물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1% 상승에 그쳤다. 전기·가스·수도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석유류 물가는 심지어 하락세를 나타냈다. 석유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1% 감소했다. 전월비로도 1.3% 줄었다. 이는 지난해 국제유가가 큰폭으로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으로 분석된다.

가공식품과 외식 등 2차 생산품은 원자재 가격 상승을 시차를 두고 따라 간다. 여기에 우리나라는 주요국과 비교해 긴 시간 인위적으로 2차 생산품 물가를 잡아둬 앞으로도 오름세가 지속할 수 있다.

이에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하락폭이 낮아졌다. 지금까지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주도, 소비자물가지수가 근원물가 보다 높았다. 그런데 2월엔 총지수와 근원물가가 4.8%로 같았다. 2020년 9월 이후 처음이다. 근원물가는 기조적 물가 등락률을 나타낸다. 근원물가 하락세가 더디다는 것은 앞으로 물가 상승세가 비교적 길게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2022년 4월(4.8%) 이후 처음으로 4%대에 진입하는 등 안정흐름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특별한 외부충격이 없다면 안정흐름을 지속할 것”이라면서도 “누적된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식품·서비스 등 수요품목의 가격 불안요인이 아직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에 상반기 공공요금을 동결하고 식품업계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구했다. 고물가 등으로 생계부담을 느낄 수 있는 취약계층을 위해선 재정지원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공공요금은 상반기 동결기조하에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국민부담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