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전 중기 경쟁력 脫원전 이전 수준으로…5년간 6750억 투입
중기부, 중장기 방안 발표
강소기업 150개 육성…기술개발 등 지원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 성산구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공장을 방문해 한국형 원자로 APR1400 축소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정부가 원전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탈원전 정책 시행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대대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발표한 ‘원전 중소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방안’을 통해 향후 5년간 원전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및 자금 지원을 위해 675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오는 2024년까지 원전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탈원전 이전인 2016년 수준으로 회복하고, 2027년까지 원전 강소기업을 150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해 6월 중기부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발표한 원전지원 정책의 후속조치다. 국내 신규 원전 건설, 해외수출 추진 등 원전 시장이 활성화되는 시기에 맞춰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을 적기에 지원하겠다는 것.

중기부는 먼저 향후 5년간 '원전 중소기업 특화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라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원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반이 6개월에 걸쳐 수립한 로드맵은 4개 분야, 40개 중점 지원 품목, 180개 핵심기술로 구성됐다.

우선 설계 단계에서는 내진 성능 향상 등 설계 안전성을 높이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중소기업 유망분야를 발굴한다. 제작·건설 단계에서는 3D프린팅, 레이저빔 용접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공정 효율화와 탄소나노소재 등 고기능 소재 부품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운영·유지보수 단계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안전성 강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해체 단계에서는 고리1호기 해체가 예정된 만큼 현장 수요기술을 확보하고 창업·벤처기업을 육성한다.

디지털 원전 10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40개 중점 지원 품목 중 10개 품목을 선별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원전 강소기업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중소기업, IT기업, 수요기업, 대학 등 다자간 협업방식의 공동개발 과제를 기획하고 민간투자 연계 등 전용 사업을 마련한다.

중기부는 원전 중소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해 5년간 ▷정책자금 2500억원 ▷저금리 융자 2000억원 ▷R&D 1500억원 ▷경쟁력 펀드 250억원 ▷기술보증 500억원 등 6750억원을 투입한다.

중기부가 2027년까지 매년 500억원씩 5년간 25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투입한다. 동시에 2000억원 규모의 저금리 융자상품을 운영하고, 기술보증도 500억원 한도 내에서 계속 지원하기로 했다.

또 2024년부터는 시중은행과 협력해 250억원 규모의 ‘원전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펀드’를 조성한다.

나아가 중소기업의 시제품 개발비 절감을 위해 기계연구원과 협력해 50% 이상 저렴한 성능시험을 도입하는 한편 원스톱 안전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도 추진한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