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로성장’ 묶인 한국 경제...연간 1.4% 달성 ‘가물가물’
1분기 성장률 분석해보니
상저하고→상저하저로 악화
민간소비 증가로 간신히 지탱
정부기여도 0.9%→-0.3%로
국민소득도 전년비 7.4% 줄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3%에 그치며 사실상 ‘제로(0) 성장’을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민간소비가 가까스로 마이너스(-) 성장을 막았지만, 수출 뿐 아니라 투자마저 부진한 흐름을 보이면서 성장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가 상반기 부진에서 하반기로 갈수록 회복되는 ‘상저하고’ 흐름을 예상하고 있지만 상반기뿐 아니라 하반기에도 경기 둔화가 이어지는 ‘상저하저’로 악화하며 한은이 최근 내려잡은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1.4% 달성도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분기 0.3% ↑...“이미 장기 저성장”= 1분기 성장률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활성화된 민간소비가 떠받쳤다.

2일 한은에 따르면 1분기 민간소비는 오락문화·음식숙박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0.6% 올랐다.

정부소비 또한 물건비 지출이 줄었지만 사회보장 등 현금성 지출로 0.4% 증가했다. 금리 인상으로 부진했던 건설업 경기도 일정 부분 되살아났다.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3% 늘었다.

성장기여도(계절조정계열)를 살펴보면 주체별로 민간 부문이 전분기 -1.3%포인트에서 올 1분기에는 0.6%포인트로 크게 늘었다. 반면 정부 기여도는 같은 기간 0.9%포인트에서 -0.3%포인트로 줄어들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설비투자가 0.2%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감소 전환했다. 순수출은 -0.5%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감소폭을 줄였다.

크게 보면 우리나라는 이미 장기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0.3% 성장했지만 전년동기 대비 0.9% 증가했다. GDP가 전년동기 대비 0.9%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확산 시기 역성장을 기록했던 2020년 2~4분기를 제외하면 2009년 3분기(0.9%) 이래 15년여 만에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부정적 전망을 내놓는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년동기 대비 GDP 성장률이 0%대로 내려왔다는 것은 최악의 경우”라면서 “하반기에도 좋아질 이유가 전혀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정부도 경기 부양 의지가 없고 기준금리도 올라갈 가능성은 있지만 인하 여지는 없을 것이다. 수출도 살아날 기미가 없다”며 “연간 경제 성장률 전망치인 1.4%도 달성할 가능성이 50% 이하라고 본다”고 내다봤다.

▶소득 역성장...올해도 이어지나= 지난해 우리 경제가 수출 부진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국민소득도 뒷걸음질쳤다.

지난해 1인당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3만2886달러로 1년 전(3만5523달러)보다 7.4% 감소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한국의 1인당 GNI는 2020년 감소에서 2021년 증가로 돌아섰으나 2022년 다시 감소 전환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1인당 GNI는 20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했다. 앞서 국민소득 통계를 발표한 대만의 경우 지난해 1인당 GNI가 3만3565달러라고 밝혔다.

지난해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또한 1만8194달러로 1년 전보다 5.4% 감소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다.

이처럼 국민소득이 줄어든 것은 이례적인 ‘킹달러’ 현상의 영향이 컸다. 지난해 연간 원/달러 환율은 1144원에서 1292원으로 12.95% 상승했다.

올해는 환율이 지난해보다 다소 진정된 모습이지만 경기 둔화가 가속화하면서 국민소득을 깎아내릴 수 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6%에서 올해 1.4%로 대폭 꺾일 전망이다.

아울러 여전한 고물가가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 우려가 있다. GDP디플레이터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3~4분기 0%대에서 올해 1분기 1.4%로 다시 고개를 드는 상황이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함한 종합적 물가지수다. 다만 국민소득 감소가 장기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권남훈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시적으로 대만에 소득이 밀릴 순 있지만 장기적 경향으로 보지는 않는다”면서 “큰 흐름으로 봐서는 장기 저성장 국면에 들어간 것은 맞지만, 최근 경기 하락은 반도체 등 우리나라 주력 부분이 상당히 타격을 입은 영향이 있다. 향후 반등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평가했다. 김현경·문혜현 기자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