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미금리 역전폭 2.25%p까지 벌어지나…환율상승·자금유출 압박 ↑ [투자360]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미국이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동결했다. 하지만 연내 추가 인상을 강력 시사함에 따라 한·미 기준금리 역전폭 확대에 따른 환율상승 및 자금유출 압박이 더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4일(현지시간) 정책금리(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미 금리차는 1.75%포인트(p)로 유지됐다. 그러나 연준이 점도표(dot plot)를 통해 연내 0.50%p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한국은행이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경우 올해 연말 한미 금리차는 2%p를 넘어 최대 2.25%p까지 벌어질 수도 있다. 그만큼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사상 유례 없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한은은 당장 7월 통화정책방향 회의부터 경기·금융 불안에 초점을 맞춰 금리를 계속 동결할지, 내외 금리차에 따른 환율 등 위험을 고려해 추가 인상에 나설지를 두고 깊은 고민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하고 있다. 이날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동시에 올해 중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예고했다. 연합뉴스

연준은 13∼14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00~5.25%로 묶었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동결이 일시적일 뿐, 언제라도 추가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이번 FOMC 회의에서 새로 공개된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 상의 올해 금리 전망치 중간값(5.6%·5.50∼6.00%)도 3월 당시(5.1%·5.00∼5.25%)보다 0.50%p 높아졌다.

앞으로 7, 9, 11, 12월 회의에서 최소 두 번의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p 인상)이나 한 번의 빅 스텝(0.50%p 인상)이 뒤따를 수 있다는 뜻이다. 이미 한국(3.50%)과 미국(5.00∼5.25%)의 기준금리 격차는 1.75%p로 사상 최대 수준이다. 만약 미국이 FOMC 위원들의 전망대로 연내 기준금리를 0.50%p 더 올리고, 한은은 동결 기조를 유지할 경우, 미국(5.50∼5.75%)과 한국(3.50%)의 금리차는 2.25%p까지 확대된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원화가 절하(가치 하락)될수록 같은 수입 제품의 원화 환산 가격은 높아지는 만큼, 힘겹게 정점을 지난 물가에 다시 기름을 부을 수도 있다.

하지만 경기·금융 불안 등을 생각하면 한은이 추가 인상을 쉽게 결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3%)은 민간 소비 덕에 겨우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했고, 통관기준 무역수지도 지난해 3월 이후 올해 5월(-21억달러)까지 15개월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한은은 올해 1월까지 1년 반 넘게 이어온 금리 인상 행진의 부작용에도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