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준은 2번 인상한다는데 한은은 동결?…“한미 금리차, 폭탄 될 것”[머니뭐니]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AP]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이상 올릴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한국은행의 고심이 깊어질 전망이다. 다만, 오는 13일 예정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선 추가 금리 인상에는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올해 들어 물가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고, 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도 깊은 상황이어서 추가로 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시장의 관측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미 역대 최대 수준인 한미 금리차가 더 벌어질 경우 외환시장을 비롯해 우리 경제에 뇌관이 될 수 있어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파월 “연내 두 번 이상 인상 적절…연속 인상도 배제 안 해”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29일(현지시간) 스페인중앙은행 콘퍼런스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 중 대다수가 올해 말까지 금리를 두 번 이상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계속 높아지고 있고, 인플레이션을 (연준의 목표 수준인) 2%로 낮추는 과정은 갈 길이 멀다”고 밝혔다.

그는 “특정 횟수의 금리 인상을 정해둔 것은 아니다”라며 “추가 금리 인상의 시기와 정도는 경제의 경로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도한 금리 인상과 너무 적은 금리 인상에 따른 위험이 아직 균형을 찾지 못했다면서 “우리는 금리를 연속으로 올리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재 통화 긴축의 정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본 파월 의장이 연내 최소 두 번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연속 인상의 가능성도 열어둔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

연준 두 번 인상 시 한미 금리차 2.25%까지 확대

전문가들은 연준이 금리를 두 번 이상 올리는 것이 충분히 가능한 일이고, 그 경우 한은에도 긴축 압박이 더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연준은 최소 0.50%포인트를 올해 중으로 올린다는 게 확고하다”며 “기준금리를 7월과 9월 연이어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2%로 시장의 예상을 상회한 것도 연준의 추가 인상 여지를 키우는 대목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파월 의장은 물가 인상 요인이 여전히 남아 있고,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얘기함으로써 시장이 충격을 덜 받게 한 것”이라며 “GDP 호조는 금리를 인상할 만큼 실물경기 상황이 괜찮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현재 5.00~5.25%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고,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현행 3.50%로 유지할 경우 현재 1.75%포인트로 사상 최대 수준인 한미 금리차는 2.00%포인트로 더 벌어지게 된다. 연준이 두 번 인상할 경우 금리차는 2.25%포인트까지 확대된다.

한미 금리차 확대는 외국인 자금의 이탈과 원화 가치 하락을 일으켜 외환시장을 불안하게 만들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한미 금리차에 따른 외환시장 변동성은 한은이 예의주시하는 데이터 중 하나다. 이창용 총재는 “한미 금리 차의 적정수준은 없다.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면서, 한미간 통화정책의 온도차가 환율 리스크로 즉각 번지지 않을 것을 시사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공개된 5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현재 역대 최고 수준인 한미 기준금리 차가 환율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외환시장에서의 환율 움직임을 주시하고 환율 변동성이 커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가상승률 둔화따라 한은은 7월 동결 전망이 우세

그럼에도 시장에선 한은이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보다는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도 여전히 남아 있다.

이는 한은의 최대 목표인 ‘물가 안정’이 1년 반 동안의 강도 높은 긴축을 통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난해 6%대까지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둔화하며 5월 현재 3.3%로 떨어졌다. 6~7월에는 물가상승률이 2%대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다소 진정된 가운데 경기는 본격적으로 둔화하면서 정책의 무게추가 ‘물가’에서 ‘경기’로 이동했다는 분석도 금리 동결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5월 산업생산, 소비, 투자가 4월보다는 늘었지만 지난해 5월과 비교하면 감소해 경기 회복 신호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동시에 높아지는 연체율도 금리를 더 올리기 부담스러운 요소다. 한국은행이 이달 발간한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연체율이 금융권 전반에서 상승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금융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83%로 1년 전(0.56%)보다 높아졌다.

신 교수는 “연준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한은은 따라 올리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미 금리차, 폭탄”…“금리 인상 필요할 수”

한은이 7월 시장 전망대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게 되더라도, 추후 시장 상황에 따라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 5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융통화위원 6명 전원이 최종금리를 지금보다 0.25%포인트 올린 3.75%까지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금통위를 주재하는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

신 교수는 “연준이 두 차례 금리를 올려도 물가가 안 잡히면 내년 금리가 6% 이상 올라갈 것”이라며 “한미 금리차가 계속 벌어지는 건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이다. 금리차를 보면 한은도 금리를 올리는 게 맞다”고 말했다.

성 교수도 “현재 한미 금리 역전이 지속되고 있고, 미국에서 금리 인상 얘기가 계속 나오고 있어 한국도 소폭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