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미혼청년 열에 넷 "결혼 안 한다"...열에 다섯 "자녀 낳을 마음 없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심층 설문조사 결과 발표
비혼 이유...男 "경제적 불안정" 女 "혼자가 더 행복"
성별 출산 거부 女 56.8%>男 38.5%..."육아 부담"
저출산 원인은 경제적 부담>주거 불안정>고용 불안정 순
한미연 "직장 만족도 높을수록 출산 의향 높아...근무환경이 중요"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꼴찌이자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는 16년간 약 280조원의 저출생 대응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출생아 수는 20년 전의 반 토막인 25만명 수준으로 곤두박질했다. 사진은 2019년 서울의 한 대형병원 신생아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대한민국 20~39세 미혼 청년 10명 중 4명은 결혼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에 대해 남성의 대다수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라고 답했고, 여성들은 '혼자 사는 삶이 더 행복할 것 같아서'라고 말했다.

또, 응답자 중 47%는 자녀를 낳을 의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열에 여섯 가량은 출산에 부정적으로 답했다. 특히 30대 여성의 경우 자녀를 낳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4.7%에 그쳤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7일 이런 내용의 결혼·출산에 대한 2030세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문 리서치업체 엠브레인에 의뢰해 진행됐다. 조사는 전국 15~59세 남녀 2300명을 대상으로 정량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특히 신뢰도 향상을 위해 결혼·출산의향 및 성별을 기준으로 6개 그룹의 표적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심층면접을 통해 설문 문항을 도출했으며 다시 이를 여러 차례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30대 미혼여성 56.6% "결혼 의향 없다"
[게티이미지뱅크]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20~39세 미혼 청년 10명 중 4명은 결혼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중 미혼남성의 비혼 응답률은 36.4%, 미혼여성은 50.2%로 성별에 따라 13.8%포인트(p) 차이가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20대 남성이 33.2%, 여성은 46.1%가 결혼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에 비해 30대 남성의 비혼 응답률은 41.0%, 여성은 56.6%로 나타났다.

30대의 비혼 의향이 전반적으로 20대보다 높고 성별 간 인식차이도 벌어지는 것이다. 특히 ‘절대 결혼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응답한 30대 여성은 16.3%로 같은 연령대 남성 응답률인 8.7%보다 2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이 결혼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해서(42.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 조건을 맞추기 어려울 것 같아서(40.8%)’ 순으로 응답해 경제적 상황과 현실적 조건을 비혼 선택의 기준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이에 비해 여성들은 ‘혼자 사는 삶이 더 행복할 것 같아서(46.3%)’, ‘다른 사람에게 맞춰 살고 싶지 않아서(34.9%)’ 순으로 응답했으며, ‘가부장제 및 양성불평등에 대한 거부감(34.4%)’이 남성(8.2%)보다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나 결혼 후 변화하는 삶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결혼이 직업적 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우려한다고 응답한 여성 비율이 69.1%로 남성(38.6%)보다 30%p 이상 높게 나타났다.

출산 의향에 있어서도 성별 간 차이가 드러났다. 20~39세 미혼 응답자 중 47%가 자녀를 낳을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가운데, 남성의 비출산 응답비율은 38.5%, 여성은 56.8%로 18.3%p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비출산 의향의 차이는 비혼 의향 차이보다 4.5%p 높아 출산관련 남녀 인식격차가 결혼보다 큰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대에 따라 비출산 의향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 ‘꼭 자녀를 낳을 것이다/ 낳고 싶다’고 응답한 30대 비율(4.7%)이 20대 응답률(9.3%)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출산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 남성의 경우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서(43.6%)’,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41.5%)’ 순으로 응답했다. 여성은 ‘육아에 드는 개인적 시간·노력을 감당하기 어려워서(49.7%)’, ‘자녀를 바르게 양육할 자신이 없어서(35.1%)’ 순으로 응답했다.

남녀 모두 출산은 결혼에 비해 시간과 자기 희생이 필요한 활동이라고 생각하지만 남성은 경제적 부담감을, 여성은 심리적 부담감을 높게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성은 출산 행위 자체에 대한 두려움(25.1%)과 출산·양육이 직장생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13.1%)에 대해 남성보다 더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출산 현상을 야기하는 사회적 원인에 대해서는 남녀 모두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52.8%)’과 ‘주거 불안정(41.6%)’, ‘고용 불안정(25.5%)’ 순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출산 이후 직장 등에서의 부당한 처우를 원인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여성은 23.4%, 남성은 10.8%로 출산 이후 직장처우에 대한 남녀 간 인식차이(12.6%p)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59세 기혼 유자녀 응답자 중 여성의 74%가 경력단절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반면, 남성의 경력단절 경험비율은 13%에 불과했다.

여성의 경력단절 경험비율이 남성의 6배에 가까운 수치이다. 여성은 평균적으로 6년 정도의 경력단절을 겪었고, 이로 인해 경제활동이 단절되고 공백기가 재취업의 어려움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심층인터뷰에 참여한 한 여성은 “유자녀 여성은 채용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배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출산 후에는 기존 직장보다 처우가 낮은 수준의 회사에 취업하거나 취업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출산 후 취업의 고충을 토로했다.

결혼에 부정적 의사를 밝힌 20~39세 미혼 응답자(603명) 중 결혼의 걸림돌이 해결될 경우 결혼할 의향(결혼의향 유동성)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30%로 조사됐으며 남성의 결혼의향 유동성(32.5%)이 여성보다 5.8%p 높게 나타났다.

출산의 경우, 부정적으로 응답한 20~39세 미혼 응답자(662명) 중 24.5%가 비출산 원인 해소 시 출산할 의향(출산의향 유동성)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남녀 간 차이는 결혼의향 유동성보다 다소 낮은 수준인 3%p로 나타났다.

표면적으로는 결혼과 출산을 거부하는 것으로 집계되지만 실제로는 결혼과 출산 행위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결혼·출산 이후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부정적 효과로 의해 비혼과 비출산을 선택한 집단으로 파악된다.

직장 만족도 높을수록 출산 의향 높아
[게티이미지뱅크]

반면 직장 만족도가 높은 20~39세 미혼자는 결혼과 출산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 직장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68.4%가 ‘결혼을 할 것이다’ 또는 ‘결혼을 하고 싶다’고 응답한 반면, 만족도가 낮은 집단은 긍정적 응답률이 46.3%에 그쳐 두 집단 사이에 인식 차이(22.1%p)가 크게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장 만족도에 따른 출산 의향도 만족하는 집단(60.2%)이 불만족 집단(45.2%)보다 15%p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경향은 특히 여성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여성 중 현재 직장에 만족하는 집단은 결혼 의향이 66.3%, 출산 의향이 55.8%인 반면, 불만족 집단은 37.1%와 32.6%에 그쳐 각각 29.2%p, 23.2%p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직장 만족도에 따라 결혼 의향은 최대 14.2%p, 출산 의향은 최대 5.2%p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남녀 공통적으로 직장 만족도가 결혼과 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여성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풀이된다.

여성 직장인 중 현재는 출산의사가 없으나 추후 변동될 수 있는 유동층의 절반 정도가 불만족 그룹에 속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직장 만족도가 저출산 문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직장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차의 자유로운 사용(70.8%), 육아휴직 보장(63.0%), 출산 후 복귀 직원에 대한 공정한 대우(56.9%), 출산장려 분위기(46.4%) 등이 높은 순위로 조사됐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은 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들어 여성의 고용률과 출산율이 동시에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번 한미연의 조사 결과는 여성의 경제활동과 출산이 양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혜정 한미연 선임연구위원은 "여성의 경제활동 자체가 출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보다 경제활동을 하는 기업의 근무환경에 따라 출산율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며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라고 해석했다.

한편, 2012년 48만5000명이던 우리나라 출생아 수는 지난해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치인 24만9000명을 기록했다. 올해 출생아 수는 이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