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비자물가보다 더 오르는 식료품물가…물가 둔화 발목 잡나
2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 신선코너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상추(100g)의 전국 평균 소매가격이 한 달 전보다 131.3%, 쥬키니 호박 132%, 청상추 115.4% 등 채소 시세가 급격히 올랐으며, 유제품 또한 원윳값 협상이 88원 인상으로 타결되며 식료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인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최근 기상 여건 악화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높은 수준의 식료품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국내외 식료품물가 흐름 평가 및 리스크 요인’에 따르면 국내 식료품물가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으며 팬데믹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가격 상승도 소비자물가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팬데믹 초기 식료품 지출 증가, 국내 기상 여건 악화,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등으로 빠르게 상승했고, 가공식품 가격은 지난해 이후 국제 곡물 가격 급등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파급되면서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국에서도 지난해 이후 식료품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상회하면서 식료품발 물가 불안(agflation·애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유로지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공급 차질의 직접적인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데다 인건비 등 투입 비용 상승이 더해지면서 식료품물가 상승률이 올해 들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 역내 인플레이션의 약 35~40%를 설명하고 있다.

영국에서도 식료품물가가 3월 19.2% 상승해 45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국의 식료품물가는 최근 기저효과 등으로 오름세가 둔화됐으나 지난해 10% 이상 급등하면서 누적된 가격 상승의 폭이 전체 소비자물가를 크게 웃돌고 있다.

[제공=한국은행]

국내외 식료품물가의 높은 상승세는 나라별 여건 외에도 글로벌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팬데믹에 따른 공급병목, 러·우 전쟁 이후 곡물·비료 공급 차질, 각국의 식량 수출 제한, 이상기후 등 글로벌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식료품물가의 상방 압력을 크게 확대시키고 있다.

한은이 50개국의 식료품물가 상승 요인을 글로벌 공통 요인과 나라별 고유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로 원재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식료품의 가격 상승률이 다른 품목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등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한은은 “향후 국내외 식료품물가의 오름세 둔화 속도는 더디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면서 “최근 흑해곡물협정 중단, 인도 쌀 수출 중단 등에 따른 식량 안보 우려 등이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혔다. 주요 기관들도 글로벌 곡물 수급이 팬데믹 이전에 비해 당분간 타이트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국제 곡물 가격의 하락폭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공=한국은행]

중장기적으로는 엘니뇨, 이상기후 등이 국제 식량 가격의 가장 큰 상방 리스크로 잠재해 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엘니뇨 기간 이후에는 국제식량가격 상승기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왔으며 해수면 온도가 예년 대비 1℃ 상승할 때 평균 1~2년의 시차를 두고 국제 식량 가격이 5~7%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곡물의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아 국제 식량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에 크고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국제 식량 가격은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및 외식 물가에 시차를 두고 파급되는데, 가공식품은 11개월 후, 외식 물가는 8개월 후에 파급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며 국제 식량 가격 급등기에는 파급 시차가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

한은은 “식료품과 외식 물가의 경우 하방경직성과 지속성이 높고 체감물가와의 연관성도 높아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향후 국내 물가의 둔화 흐름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 지출 중 식료품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 부담이 증대되고 실질구매력이 축소될 수 있는 만큼 향후 식료품물가의 흐름과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