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해 정책금융 ‘91조’ 목표 80% 달성
‘성장사다리펀드2’ 출범도 확정

정부가 올해 5대 중점전략분야에 투입하기로 한 정책금융 공급목표 91조원 중 80% 이상을 달성했다. 정부는 기업의 자금애로 해소를 위해 남은 기간 차질없이 정책자금을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더 나아가 최근 투자기간이 끝난 ‘성장사다리펀드’를 개편한 새로운 펀드를 1조원 규모로 조성해 딥테크, 기후대응 등 민간이 진출하기 어려운 분야와 세컨더리 분야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25일 오전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정부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청년창업재단과 함께 제4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협의회는 국가산업전략과 정책금융을 연계해 필요한 분야에 효율적으로 정책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지난해 말 출범했으며, 이번 회의에는 환경부와 특허청도 새로 참여했다.

협의회는 이날 올해 정책금융 공급실적을 확인했다.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은 ▷글로벌 초격차 ▷미래유망산업 ▷산업구조 고도화 ▷유니콘 벤처·중견 육성 ▷기업경영 애로해소 등 5대 중점전략분야에 총 73조8308억원의 정책자금을 공급해 연간 목표치(91조8000억원)의 80.4%를 달성했다.

협의회는 정책금융 지원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산업정책 프로그램과 예산의 연계방안도 논의했다. 부처별로 정책자금 지원 프로그램과 관련예산을 마련하면, 정책금융기관들이 해당 예산을 기반으로 특별대출, 협약보증, 공공펀드 조성 등을 통해 정책금융을 지원하고, 자체 여력을 해당 프로그램에 우선 배분해 효과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성장사다리펀드2’(가칭) 출범도 확정했다. 지난달 10년간의 투자기간이 종료된 성장사다리펀드는 창업-성장-회수-재도전 등 기업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4190개 기업에 15조2000억원을 투자해 모험자본 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최근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업력 3년 이상의 성장단계 기업에 주로 투자함으로써 민간 벤처자금과 중복된다는 지적도 받았다.

정부는 내달 성장사다리펀드2를 출범하고 올해 말 모펀드 운용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강승연 기자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