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양제철소 인공지능 출강자동화 시스템 구현
광양제철소 제강부 직원이 AI를 활용한 출강자동화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헤럴드경제(광양)=박대성 기자] 포스코 광양제철소(소장 김지용) 제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출강 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해 제강부문 스마트팩토리 혁신에 나섰다.

이번 출강자동화 시스템은 외부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처음부터 포스코 고유 기술로 출강자동화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그동안 불순물 제거 작업을 거친 쇳물을 이송 용기에 담는 공정인 출강 쇳물의 산소와 성분 조정을 위한 합금철 투입 시점과 출강 종료 시점 등 작업자별 편차로 품질 상이 문제가 노출됐다.

이를 해결하고자 광양제철소 제강부는 포스코 기술연구원,전기기술섹션, 포스코ICT, 포스텍 철강에너지소재 대학원과 협업을 진행했다.

우선, 작업을 단계별로 세분화하고 조건별 데이터를 수집 및 표준화 한 이후 표준 출강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출강 자동화 구현에 성공했다.

출강자동화가 적용된 2제강 공장에서는 버튼 하나면 출강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도출된 출강 패턴을 토대로 합금철 및 슬래그 유출 방지를 위한 내화물(Dart) 투입 시점을 판단하고, 출강 종료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자 간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됐다.

또한, AI 영상인식 기술을 통해 출강 과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고온 작업으로 인한 위험을 감지할 수 있게 됐다.

AI가 영상을 분석해 위험을 자동으로 감지하며, 특히 노구(쇳물을 담고 있는 전로) 넘침 위험의 경우 노구 카메라 영상분석을 통한 위험 감지 및 제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광양제철소 제강부 관계자는 “앞으로 출강 자동화 알고리즘을 더욱 고도화하고, AI 영상인식 기술을 발전시켜 출강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에 대한 자동제어까지 구현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대폭 줄이겠다”고 말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